1 거스 히딩크
2002년 한일 월드컵에서 대한민국 4강 신화를 이뤄낸 감독 거스히딩크입니다 대한민국 사람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감독이고 아직까지도 그의 위상은 대단합니다 당시 4강 신화를 기적적인 일이며 대한민국 축구 역사에 큰 획을 만든 감독입니다 축구 역사에 9명밖에 없는 유러피언 트레블을 달성한 감독이며 클럽과 국가대표팀에서 우수한 성적을 많이 기록한 성공적인 커리어를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는 공식적으로 감독 은퇴를 선언하여 지도자 경력을 마무리하였지만 그가 남긴 역사는 아직도 기억되고 존경받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프리미어리그 1호 선수인 박지성 선수를 발굴한 스승이며 그가 알렉스 퍼거슨 감독의 부름을 받고 맨유에 갈 수 있게끔 해준 동기부여를 준 감독입니다
출생:1946년 11월 8일(76세)
국적:네덜란드
신체:182cm
직업:축구감독(은퇴)
마지막 팀:퀴라소 대표팀(2020~2021)
커리어 팀:PSV 에인트 호번(1987~1990)/ 페네르바흐체 SK(1990~1991)/ 발렌시아 CF(1991~1994)/ 네덜란드 대표팀(1995~1998)/ 레알 마드리드 CF(1998~1999)/ 레알 베티스(1999~2000)/ 대한민국 대표팀(2001~2002)/ PSV 에인트호번(2002~2005)/ 호주대표팀(2005~2006)/ 러시아 대표팀(2006~2009)/ 첼시 FC(2009)/ 튀르키예 대표팀(2010~2011)/ 안지 마하치칼라(2012~2013)/ 네덜란드 대표팀(2014~2015)/ 첼시 FC(2015~2016)/ 중국 U-21팀/2018~2019)
2. 경력
은퇴 후 수석 코치와 감독 경력을 시작한 거스 히딩크는 PSV에인트호번의 수석코치로 활동한다 당시 시즌도중 감독이 선수와 불화로 인해서 경질되는 상황이 벌어지는데 이에 감독 대행을 맡은 거스 히딩크가 지휘봉을 잡고 리그 우승을 달성합니다 감독 대행으로 우수한 성적을 거두어 바로 정식 감독으로 취임하고 에레디비시, 유로피언컵등 모두 우승을 잡아내는 시즌도 보내면서 유러피언 트레블을 달성한 감독이라는 칭호를 얻습니다 에인트호번에서 전설적인 감독으로 등극해 있고 긴 축구 역사에서 트레블을 이룬 9명의 감독 중 한 명입니다 성공적인 에인트호번에서의 감독 생활을 마치고 페네르바흐체, 발렌시아 팀을 거치면서 생활을 이어가지만 좋은 성적은 거두지 못하고 네덜란드대표팀 레알마드리드 레알 베티스 등 많은 팀을 거치면서 감독직을 이어갑니다 인상 깊은 모습들도 많이 보여주는 경기를 보여줬지만 결정적인 성적에서 대중들이 만족하지 못하면서 거스 히딩크 감독의 입지가 작아지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2002년 한 일 월드컵의 지휘봉을 잡으면서 그의 감독 커리어가 바뀌기 시작하는 계기가 됩니다 대한민국 대표팀에서의 월드컵 4강 신화를 이뤄내면서 거스 히딩크 감독에 대한 평가가 바뀌기 시작하였고 고향팀인 PSV 에인트호번에서 다시 한번 감독직을 맡고 우승 트로피를 이뤄내면서 역사를 써 내려간 감독입니다 본인이 한 일 월드컵에서 키운 박지성, 이영표선수를 데려오면서 제자들에 대한 애정도 보여줍니다
3. 장점
기본적인 기량과 조직력을 우선하는 경우가 많았다 기본기의 우수성과 체력이 바탕이 되면서 조직력을 극대화시키는 데 있어서 최고이지 않나 생각하다 개개인에게 맞는 훈련법과 전체적 팀 훈련에서 체계적인 패스와 위치선정등 팀이 하나가 되어 움직이게 하는 감독이다 또한 많은 팀을 거치면서도 해당팀에 맞는 적절한 훈련법을 가지고 부족한 것을 채우고 잘하는 것은 극대화시키는 모습을 많이 보여준다 토털 축구 현대를 많이 보여주는데 전원공격 전원수비 같은 느낌의 팀의 전체적인 스타일을 보여주는 조직적인 움직임을 중요시한다 아무리 뛰어난 키 플레이어라도 팀의 악영향을 주는 선수라도 과감히 배제시켜 버리는 감독이다 동료를 위한 희생정신 팀을 위해 헌신하는 플레이를 선수들에게서 보이길 바라고 그런 부분을 보고 선수단을 꾸린다 전술적인 측면에서 수비라인을 3백,4백을 모두사용하고 공격진도 3 톱, 2 톱 모두 기용한다 이런 점에서 전술적으로 유연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경기를 조율해 가는 감독입니다 히딩크 감독이 한국 축구 자체의 문제점, 선수 훈련 방식 및 선발 방식, 선수단 장악 능력, 한국 축구에 대한 냉철한 평가, 언론과 여론에 대한 대응 능력 이 모든 것들이 갖춰져 있는 감독이었기에 빛을 낸 감독이지 않나 생각합니다
'축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렉산더 아놀드/라이트 백/리버풀의 스타 (1) | 2023.07.17 |
---|---|
토마스 뮐러/바이에른 뮌헨 /원 클럽맨/선수 프로필 (1) | 2023.07.16 |
메수트 외질/그라운드 마에스트로/패스 마스터 (0) | 2023.07.14 |
이케르 카시야스/골키퍼 전설/수문장/은퇴 (0) | 2023.07.13 |
축구 역사/유래,발전,시작/스토리 (0) | 2023.07.12 |